[사설/칼럼] [취재수첩] 합리적인 AI 활용을 위해서
“AI를 권장하는 교수님과 반대하는 교수님 사이에서 혼란스러웠다.” 생성형 AI, 대표적으로 챗GPT는 대학생들의 생활 전반에 든든한 동반자로 이미 자리매김했다. 수업이나 과제, 논문 작성까지 AI 손길이 닿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다. 하지만 정작 교내에서는 AI 활용에 대한 구성원 간 합의가 만족할 수준에서 이뤄지지는 않은 모습이다. 교육 현장 일선에서 AI의 무분별한 사용과 지나친 의존 현상을 목격한 교수들이 AI 교육의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하고 있는 모습과 겹치는 부분이다.
이런 가운데 대학가의 흐름에 발맞춰 우리 학교도 AI 위원회를 출범시켰다. 교육·연구·행정 전반에 AI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국내 대학에서 AI 도입 움직임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반가운 소식이다. 하지만 AI 위원회의 운영 계획을 보면, AI 교육에 대한 논의나 언급이 없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앞서 출범한 공대 AI 위원회의 성과 교류회에서는 AI 활용에 따른 윤리적 관점 및 우려 사항이 논의됐다. 하지만 아주 기초적인 단계이기에 조금 더 구체적인 AI 교육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 거교적 차원의 AI 시스템 구축을 예고한 만큼, 현장의 혼란은 이미 예견된 일이기 때문이다.
학내 구성원들은 AI 활용 문제의 핵심이 결국 관련 교육에 달려있다고 입을 모은다. AI 위원회의 출범은 우리 대학의 경쟁력을 좌우할 수 있을 만큼 중대하고 의미 있는 시작점이다. 다만 충분한 이해와 합의 없이 성급히 AI를 도입한다면 오히려 현장에 혼란만 가중될 수 있다. 따라서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이고 세밀한 AI 교육 방안에 대한 논의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 AI 위원회가 교육적 기반을 함께 마련해, 실질적인 AI 시스템 구축을 이끌어가길 기대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1
- 2
- 3
- 4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