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국제캠 전공박람회 43개 학과 참여해 전공 홍보..."소속 전공생 아니면 알 수 없는 정보 많이 얻어”
【국제】 지난 19일부터 사흘간 국제캠 자유전공학부 학생 전공탐색을 위한 ‘경희대학교 전공박람회: 융합의 빅뱅’이 선승관에서 열렸다. 총 43개 학과가 참여해 학과를 홍보하는 부스를 운영했다.
행사는 ▲전공 상담 부스 ▲교내 부서 부스 ▲융합ZONE 체험 ▲부루마블 전공여행 체험 ▲세미나존으로 구성됐다. 행사장 가장자리에는 전공 및 교내 부서 부스들이 운영됐고 중앙에는 체험 공간이 자리했다. 세미나는 선승관 무대에서 진행됐다. 참관객은 행사장에서 나눠준 빙고판을 들고 부스를 돌아다니며 스탬프를 받아 선물을 수령하기도 했다.
▲ 지난 19일부터 사흘간 열린 국제캠 전공박람회 (사진=권도연 기자)
전공 상담 부스에는 국제캠 43개 학과가 모두 참여했다. 교수, 학생 등 학과 모든 구성원이 참여해 부스를 준비했다. 응용물리학과 부스에서 만나본 황규성(응용물리학) 교수는 “교수들이 직접 부스 참여를 결정했다”며 “학생들에게 응용물리학과의 연구와 학과 장점을 소개했다”고 말했다.
부스 운영을 맡은 학생은 부스를 찾아오는 학생에게 학과를 소개하고 질의응답을 이어가기도 했다. 부스를 운영한 김경은(일반대학원 식품생명학과 2024) 씨는 “참가자에게 주로 취업을 위해 어떤 역량을 갖춰야 하는지를 중점적으로 설명했다”며 “식품생명공학과의 진로는 식품 분야뿐만 아니라 바이오 분야까지 다양하게 있다”고 말했다.
로봇부터 마네킹까지
전공 특성 살린 부스 눈길
전공 부스는 전공별 특성에 맞게 운영된 점이 돋보였다. 특히 기계공학과 부스 앞에는 학과 소속 연구실에서 제작한 로봇이 행사장을 돌아다니며 참관객의 눈길을 사로잡기도 했다. 부스 운영자 이강민(기계공학 2020) 씨는 “연구실에서 실제로 사용하고 있는 로봇”이라며 “학생들이 로봇을 접할 기회가 없는데 기계공학과 차원에서 학생들에게 보여주고 싶어서 가져오게 됐다”고 말했다.
예술디자인대학 소속 학과 부스 구역에는 단과대 특성상 각종 디자인 전시가 이뤄졌다. 산업디자인학과 부스에는 목업 제작 3D프린터와 목업 제작물이 전시됐다. 의류디자인학과 부스 앞에는 학생이 디자인한 옷을 착용한 마네킹이 전시됐다. 부스 운영자 정구일(의류디자인학 2024) 씨는 “간혹 서울캠 의상학과랑 혼동하는 학생도 있는데 그 점에서 의류디자인학과가 무엇이 다른지 학생들에게 알려주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 예술디자인대학 전공 체험 부스(위)와 외국어대학 전공 체험 부스(아래). (사진=권도연 기자)
외국어대학 학과 부스는 전공 언어별 문화 콘텐츠가 주를 이뤘다. 외국어 특성상 해외 진출 기회가 많은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프랑스어학과는 학과 내 연구실인 아프리카연구센터에서 개최하는 ‘아프리쿠영화제’를 소개했다. 부스 운영자 김그린(프랑스어학 2021) 씨는 “아프리카에서도 프랑스어를 굉장히 많이 사용한다”며 “개발 중인 아프리카에서 쓰이는 프랑스어는 건축이나 공학 쪽 학생에게 메리트가 큰 언어”라며 학과를 홍보했다. 또 “해외로 나갈 수 있는 기회도 많이 주어져 해외 여러 문화를 경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도 말했다.
행사장 중앙엔 체험존 마련
부루마블 여행·유튜버 체험도
행사장 중앙에는 거대 보드게임 판이 마련됐다. ‘부루마블 전공여행’ 부스를 위한 것으로, 대형 주사위를 던져 나온 수만큼 말을 움직여 멈춘 전공에 해당하는 부스를 다녀와야 한다. 완주한 학생에겐 팝콘이 제공됐다. 부스를 운영한 박정식(컴퓨터공학 2023) 씨는 “자유전공학부 학생의 경우 어느 전공을 가야 할지 망설이는 경우가 많아 기획된 부스”라며 “다들 흥미를 많이 느끼며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이번 행사를 계기로 다양한 전공끼리의 교류가 조금 더 많이 이뤄졌으면 한다”고도 말했다.
이외에도 체험존에는 ▲유튜버 체험 ▲융합실험ZONE ▲상상전공 라운지 ▲전공리믹스ZONE이 마련됐다. 특히 상상전공 라운지는 새로운 미래전공을 제안하고 기획하며 아이디어를 나누는 공간으로 준비됐다. 부스에 참여한 김인한(자유전공학 2025) 씨는 “미래에 생길 것 같은 전공을 한번 써봤다”며 “미래에는 가상현실이 많아질 것으로 관련 학과가 있으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박람회에 대해선 “확실히 직접 체험하다 보니까 전공에 더 관심이 생기고 자유전공학부 학생에게 되게 좋은 기회인 것 같다”고 소감을 말했다.
이날 만나본 참가자들은 대체로 행사에 만족감을 표했다. 박예준(자유전공 2025)씨는 “이번 박람회를 통해 검색해 보는 것으로는 알 수 없는, 재학생이 아니면 알 수 없는 정보들을 많이 얻었다”며 “박람회를 계기로 전공에 대한 시각이 넓어졌다”고 말했다. 황규성 교수는 “이전에는 학생들이 전공에 대해 깊이 알아볼 기회가 없었다”면서도 “이번 박람회를 통해 학생들이 유익한 정보를 얻고 그것을 바탕으로 학과를 잘 선택할 것 같다”고 말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1
- 2
- 3
- 4
- 5
개인정보수집 및 이용약관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