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학교 의대생 전원이 복귀했지만, ‘등록 후 수업 거부’라는 방식으로 투쟁을 이어가고 있다. 학생 전원이 복학 신청서를 제출하며 형식적으로는 학교로 돌아왔지만, 실제 강의실에 모습을 드러낸 학생은 극히 일부다. 우리학교 의대 행정실은 강의 미수강 학생에 대해 학칙에 따른 유급 처리를 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그 말이 실행으로 이어질지는 불확실하다. 이제는 수업을 거부하는 학생에게 학칙에 근거한 단호한 제재가 이뤄져야 할 시점이다.
집단 휴학을 감행했던 의대생이 복학 마감 시한을 앞두고 대부분 복귀하면서, 당초 우려됐던 대규모 제적 사태는 일단 피할 수 있게 됐다. 불행 중 다행이다. 그러나 행정적 ‘복귀’가 곧 교육의 정상화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우리학교 예과, 본과 모두 수강신청률은 약 10% 수준에 머물고 있다.
교육부의 입장은 분명하다. 단순한 등록 행위만으로는 복귀로 간주할 수 없으며, 실제 수업 참여와 학점 이수를 통해서만 정상 복귀 여부를 판단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학생들의 강의 참여가 어느 정도 확인된 이후에야 2026학년도 의대 정원 확대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지금 상황이 장기화할 경우, 이는 단순한 학내 문제가 아니라 의료 공백을 야기하는 국가적 문제로 번진다. 현재도 전국의 수많은 응급실과 전공의 수련 과정은 구조적으로 마비된 상태다. 복귀한 의대생마저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다면, 결국 의사 양성의 기반이 무너지는 것이다.
더 심각한 문제는 윤리적 책임이다. 의사는 생명이라는 공공의 가치를 지키는 정점에 서 있다. 이러한 직업을 선택한 이들이 교육을 거부한다는 것은 단순한 학업 거부가 아니라, 장차 생명을 책임질 수 있는 자격을 스스로 훼손하는 행위다. 의료 윤리 강령은 의사의 책무로 ‘환자의 생명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자신을 철저히 수련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수업을 거부하고 실습을 방기하는 이유가 외압이든 본인의 선택이든, 현재의 행태는 이와 정면으로 배치된다.
복귀 의대생은 조속히 강의실로 복귀해야 한다. 특히 그간 우리학교는 지난해 유급 조치를 철회하며 사실상 의대생에게 학칙의 예외를 적용한 전례가 있다. 연세대는 미수강 학생에게 유급 통지서를 발송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 역시 의료 공백 해소를 위해 더는 ‘등록만 한 복귀’를 묵과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히고 있다.
생명의 가치를 누구보다도 중시해야 할 이들이, 지금 그 가치를 외면해서는 안 된다. 교육은 선택이 아니라 의무다. ‘복귀’는 수업을 통해서만 완성되며, 그 안에서만 의사의 책임과 신념이 자란다. 여론은 의대생을 특혜를 받을 수 있는 존재라고 여겨 미복귀를 기다렸던 것이 아니다. 이미 충분한 인내를 보여줬다. 이제는 학생이 그 신뢰에 답할 차례다. 의사가 되겠다고 마음먹으며 열심히 공부했던 본인의 청소년기를 다시 한번 떠올리며 초심을 잡길 바란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1
- 2
- 3
- 4
- 5
개인정보수집 및 이용약관에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