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학교가 개인정보보호 수준진단에서 ‘미흡’ 판정을 받았다. 최근 생성형 AI의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확산되는 가운데, 학교 보안 문제에 대한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전북대, 홍익대 등 여러 대학에서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 전북대의 경우 약 32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돼 과징금 처분도 받았다.
우리학교 역시 인포21에는 개인 성적,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학사정보 등 각종 정보가 담겨 있다. 재학생뿐만 아니라 교직원, 졸업생까지 포함하면 그 규모를 가늠하기조차 어렵다. 정보처는 이번 판정에 대해 “지난해보다 검사 기준이 높아진 탓”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설득력 있게 들리진 않는다. 기준이 어떻든 간에, 결국 학교의 개인정보보호 수준이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사실은 달라지지 않는다.
최근 개인정보보호는 사회적 논쟁의 중심에 서 있다. 생성형 AI 기술의 비약적 발전은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성을 한층 증대시키고 있다. 그만큼 학교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다. 체계적인 컨설팅과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보안 수준을 강화해야 하는 이유다.
다른 대학에서 연이어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한 만큼, 우리학교 역시 이를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보안 수준을 강화하고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만 한다. 개인정보는 한번 유출되면 원상 복구가 불가능하며 범죄에 악용될 가능성도 크다. 대학의 관리 소홀히 다수의 되돌릴 수 없는 피해로 나타날 수 있다. 학교는 책임 있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개인정보 보호 조치를 마련함으로써 학교 구성원이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개인정보보호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는 지금, 보다 철저한 보안 대책이 수립되기를 기대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1
- 2
- 3
- 4
- 5
개인정보수집 및 이용약관에 동의합니다.